본문 바로가기
Arsenal FC/Preview & Review

[21/22 EPL 33R 분석] 아스날(H)v맨유 - 경기분석(스탯/기록)

by 앙리네 2022. 4. 28.
반응형

[21/22 EPL 33R 분석] 아스날(H)v맨유 - 경기분석(스탯/기록)

아스날 경기 분석 포스팅은

경기 리뷰와는 다르게

스탯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되는 포스팅입니다.

 

경기 분석은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1. 경기 일반분석(일반스탯)

2. 기대값 분석(xG/xT 등)

3. 공간 분석(포메이션/히트맵 등)

4. 패스/연계 분석(패스맵 등)

5. 선수 개별 스탯


1. 경기 일반분석(일반스탯)

출처: Sofascore

이번 경기 일반 스탯입니다.

좌측이 홈팀 아스날의 스탯, 우측이 맨유입니다.

전체 점유율은 아스날이 55% 맨유가 45%입니다.

아스날이 약간 더 점유율이 높게 나타납니다.

양팀 슈팅 숫자는 14:14로 동일하지만

온타겟 슈팅은 7:5로 아스날이 더 높습니다.

코너킥은 1:7로 맨유가 더 많았고

 

빅찬스는 3:4로 맨유가 더 많았으나

빅찬스 미스는 1:3으로 맨유가 3개를 놓쳤습니다.

빅찬스를 살린것만해도 아스날이 2:1입니다.

이날 골대의 불운이 3번 찾아온 맨유입니다.

 

패스 성공률은 아스날이 85% 맨유가 82%이고

롱패스는 맨유가 더 성공률이 높습니다.

아스날은 총 50회를 시도했고 12회만 성공했습니다.

출처: Sofascore

전반점 점유율이 62%인 아스날입니다.

전반전에도 11:11로 슈팅이 동일했고

온타겟은 아스날이 6:3으로 두배였습니다.

전반전에만 빅찬스가 총 5회 나왔고

아스날이 3회 맨유가 2회입니다.

맨유는 전반에 골대를 1회 맞췄습니다(달로).

 

전반전 패스 성공률은 아스날이 87%

맨유는 81%를 기록했습니다.

전반전 20회의 롱패스 중 절반을 성공한 맨유입니다.

롱볼을 참 많이한다 싶은 맨유였지만,

아스날이 25회의 롱볼시도로 더 많긴 했습니다.

 

후반전엔 점유율  47%로 좀 내준 아스날이고

맨유는 53%를 기록했습니다.

슈팅은 전반에 비해 많이 줄어 양팀 각 3회씩이었고

온타겟은 1:2로 맨유가 더 많았습니다.

빅찬스는 맨유만 2회 있었는데 이걸 2회 모두 날렸습니다.

 

후반전 패스 성공률은 아스날이 81% 맨유 83%이고

아스날은 후반전에도 25회의 롱볼을 시도했습니다.

성공률은 딱히 좋진 않습니다.

출처: AFC Analysis

세부지표에서 트랜지션 상황을 보겠습니다.

리커버리 횟수는 70:73으로 맨유가 약간 많았고

상대진영에서의 리커버리는 30:18로 아스날이 더 많습니다.

아스날은 파이널써드지역에서 13회 리커버리,

맨유는 파이널써드지역에서 10회의 리커버리를 했습니다.

 

볼 루즈에서는 90:97로 맨유가 더 많았고

자기진영에서 공을 잃은게 맨유가 총 42회

아스날은 24회 정도만 나타났습니다.

파이널써드에서 공을 잃은건 각 39회씩입니다.

 

세부 경합지표를 보겠습니다.

공격상황에서의 경합은 60:56으로

아스날이 더 많이 경합을 했으나

이 상황에서의 경합 성공률은 30%:46.4%로

맨유가 아스날에 비해 더 나은 지표를 보입니다.

수비상황에서는 당연히 그 반대가됩니다.

아스날의 수비경합 성공률은 53.6% 맨유는 70%입니다.

 

볼 루즈 상황의 경합에서는

아스날이 36.4%, 맨유가 42.4%이고

22회로 나타난 공중볼 경합에서는

18.2%만 승리한 아스날입니다.

경합의 강도는 6.4:4.7로 아스날이 높습니다.

드리블은 15:28 맨유가 더 높았고

성공률도 맨유가 더 좋습니다.

 

소유권 세부지표에서 볼만한걸 보겠습니다.

상대 진영으로 볼을 소유한 상태로 진입한게 48:50

공을 소유한채로 박스 안에 들어간 것은 14:8

평균 공 소유시간은 아스날이 20s, 맨유가 14s로

아스날이 평균 6초 더 길게 소유했습니다.

출처: AFC Analysis

아스날이 기록한 전방으로 향하는 패스(성공률)는 147개(74.1%),

전진패스는 54(70.4%), F3진입패스는 47(70.2%)

박스 진입패스는 20(60%), 스마트 패스는 4(75%)

키패스는 1개 스루패스는 6개입니다.

매치 템포는 아스날과 맨유 둘 다 18정도로 나왔고

아스날이 약간 더 빠르게 나왔습니다.

아스날의 평균 패스 길이는 17.4입니다.

출처: The Analyst

이번 경기 공격위협입니다.

경기 초반에 바로 아스날이 공격위협을 높여서

선제골을 넣는 것에 성공했고,

그 뒤로 한동안은 맨유가 공세였습니다.

그 뒤로 아스날과 맨유가 공세를 주고받았고

그 과정에서 양팀이 득점을 주고받았습니다.

 

맨유의 득점이 나오고 난 뒤로 잠시 맨유가

공격을 강하게 했으나, 무사히 넘겼고

아스날이 전반 막판에 공격을 강하게 하다가

후반전으로 넘어갔습니다.

 

후반전 초반에도 아스날이 공세를 했으나

소득은 별로 없었고

그 뒤로는 맨유가 공세를 이어갔습니다.

여러번의 공격이 있었지만 지표상으로는

그렇게 강한 공격으로 표현되진 않았습니다.

그 공세를 막은 뒤에 70분정도에 아스날이 추가득점,

그 뒤로는 양팀 모두 별다른 공격은 안나왔습니다.

출처: oh_that_crab(Twitter)

이 경기의 필드틸트입니다.

전체 54.6%는 아스날 45.4%는 맨유가 차지했습니다.

앞선 그림과 위 필드틸트의 모양새가

상당히 많이 유사하게 나왔습니다.

 

주요하게 볼 것은 실제로 경기를 보면서

아스날이 많이 수세에 몰린다 싶었던

후반전 60분 이후의 상황은

공격위협보다 필드틸트에서 더 잘나타나는듯 합니다.

 

여기서 주요하게 봐야될 것은

경기 초반 필드틸트가 나오기 전(10분단위 측정)에

득점이 나온 것을 제외하면

아스날은 필드틸트를 높게 유지하지 않은 상황이거나

맨유의 필드틸트가 높을 때 득점을 기록했습니다.

출처: whoscored

후스코어드 선수평점입니다.

가장 높은 평점은 7.9점을 받은 자카이고

사카는 7.6 엘네니는 7.2입니다.

득점하지 않은 선수 중에는 엘네니가 최고점입니다.

물론 어시스트가 하나 있긴 합니다.

호날두는 7.1, 마티치도 7.1입니다.

 

아스날에서 최저평점을 받은 선수는 6.3점의 로우와 화이트

소아레스도 6.6점을 받았습니다.

맨유에서 최저평점은 린델로프가 5.7점을 기록했습니다.

출처: whoscored

전체 슈팅은 사카가 5회로 가장 많았고

호날두, 브페, 누누, 엘랑가가 3회씩의 슈팅을 했습니다.

로우는 1회의 슈팅도 기록하지 못했습니다.

출처: whoscored

선수별 점유율입니다.

자카가 7.7%로 가장 높았고

엘네니가 7.5%으로 그 다음입니다.

화이트는 6.5%, 세드릭은 6.4%로 나타납니다.

아스날의 3선과 우측 후방이 높게 나타납니다.

그 다음은 맨유의 후방인 바란이 5.9%로 5위입니다.

 

아스날에서 가장 낮은 점유율을 기록한 선수는

ESR인데 로우는 가장 빨리 교체되었기에 2%밖에 안됩니다.

빨리 교체된 로우를 제외하면 은케티아 2.3%,

타바레스가 3%로 가장 낮은 축에 속합니다.

출처: whoscored

공중볼 경합에서는

마티치가 3회로 가장 높았고

호날두, 자카, 바란, 텔레스 등이 2회를 기록했습니다.


2. 기대값 분석(xG/xT 등)

출처: understat

understat의 경기 전체 xG입니다.

아스날 2.54-2.04 맨유입니다.

통계적으로는 3:2나 2:2 정도로 볼만한 수치입니다.

 

전반 2분 누누 타바레스 선제골 xG 0.82

14분 엘랑가 빅찬스 xG 0.34

24분 은케티아 빅찬스 xG 0.46

31분 사카 PK xG 0.76

33분 호날두 추격골 xG 0.36

39분 코너킥 세컨볼 사카 슈팅 xG 0.09

56분 브페 PK 실축 xG 0.76

62분 달로 박스 안 슈팅 xG 0.24

69분 자카 꽤기골 xG 0.02

출처: The Analyst

The Analyst의 xG입니다.

아스날이 2.8, 맨유는 1.8로 understat보다는

차이가 크게 나타났습니다.

출처: oh_that_crab(Twitter)

Scott의 opta기준 xG입니다.

여기선 아스날 2.2, 맨유 2.1로 더 가깝습니다.

아스날의 xG 범위는 2.1~2.9로 나타나고

맨유는 1.8~2.5로 나타납니다.

 

xPTS는 아스날이 1.6, 맨유가 1.1입니다.

무승부에 가까웠던 경기로 봤습니다.

출처: understat

전체 찬스의 51%가 아스날, 맨유 24%이고

Deep은 7:3으로 아스날이 더 높고

PPEA는 아스날이 15.27, 맨유가 17.63정도로

큰 차이가 나진 않지만 아스날이 좀 더 낫습니다.

여기서의 xPTS는 아스날이 1.78

맨유가 0.97정도를 기록했습니다.

출처: understat

사카는 5회의 슈팅에 xG 0.97로

거의 1에 가깝습니다만 PK가 엄청 큽니다.

누누는 3번의 슈팅에 xG 0.95로 2위입니다.

두 명의 선수가 1에 가까운 xG를 기록했습니다.

은케티아는 1회의 슈팅에 0.46을 기록

외데고르 0.11 마갈량이스 0.05 엘네니 0.02

자카도 0.02를 기록했습니다.

출처: understat

xGB는 로우가 0.59로 가장 높고

엘네니와 누누가 0.55를 기록했습니다.

누누는 xG와 xGB 둘 다 팀 내 수위권입니다.

사카는 0.15, 외데고르 0.11, 세드릭 0.11로

외데고르의 xG가 낮은 것은 xA가 높아서 그런듯 합니다.

출처: oh_that_crab(Twitter)

이 경기 GPA는 외데고르가 가장 높고

사카, 은케티아, 자카, 로우, 화이트 순서이고

가장 낮은 GPA를 기록한 선수는 세드릭이고

램스데일과 같이 GPA 음수값을 기록했습니다.

출처: AFC Analysis

xT 생성존을 보면 이전처럼

우측 하프스페이스쪽에서 높게 나타났으면서

동시에 좌측 하프스페이스에서도 진한게 나타납니다.

로우의 xGB가 만들어진 구역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전반적으로 좌측보단 우측이 높습니다.

 

xT패스에서는 외데고르가 0.621로 가장 높고

자카가 0.439로 그 다음입니다.

로우의 경우 0.011로 교체 감안해도 매우 낮은편입니다.

사카는 -0.142입니다.

출처: AFC Analysis

좌측 xT패스 세부를 보면

외데고르가 +0.7-0.082로 패스 대부분이

차감보다는 증가를 시켰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카 또한 +0.52-0.079입니다.

사카와 세드릭, 은케티아 등은 백패스가 많았는지

차감된 xT가 좀 있습니다.

 

xT 드리블에서는 은케티아가 0.06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카는 이 경기 드리블로 xT증가가 0이고

-0.022로 나타났습니다.

보통 사카가 드리블 xT 최다인데 의외입니다.

 

 

출처: AFC Analysis

xT타임라인을 보면 전후반에 피크가

그다지 많았던 경기는 아닙니다.

낮은 xT에서도 슈팅이 많이 나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전반전에는 40분 경에 맨유의 피크가 있고

후반 초반과 60분 경에도 맨유의 피크가 있습니다.

아스날은 0.2를 넘는 피크는 경기 전체에 없었습니다.


3. 공간 분석(포메이션/히트맵 등)

출처: whoscored

양팀의 평균 포지션입니다.

아스날의 포지션을 보면

이전 다른 경기들에 비해 상당히

정석적인 백4에 가까워 보입니다.

다만 세드릭이 누누가 올라갈 때에는 높이 가진 않습니다.

 

양쪽 풀백 앞에는 로우와 외데고르가 벌려 서 있고

사카가 우측 전방에, 은케티아는 중앙에 있습니다.

이렇게 대형을 갖추면 우측에 인원이 더 많게됩니다.

 

자카와 엘네니는 비슷한 라인에 서있습니다만

자카가 좀 더 중앙, 엘네니는 좀 더 우측에 있습니다.

 

맨유의 경우 상대적으로 좌측으로 몰려있습니다.

우측에는 엘랑가의 위치만 눈에 띕니다.

출처: AFC Analysis

교체투입된 선수들의 평균 포지션을 보면

가장 눈에 들어오는건 홀딩입니다.

홀딩이 들어와서 가장 뒤에 박혀있었고

마르티넬리는 로우와 연계되어 들어와서

좀 더 낮은지역, 더 중앙쪽에 있었습니다.

토미야스는 우측 풀백으로 들어와서 사이드라인에 붙어서

플레이하는 모습을 잠깐 보여줬습니다.

출처: whoscored

양팀의 히트맵을 보면

아스날은 확실히 우편향되어있고

맨유도 좌측라인이 좀 더 진하게 나옵니다.

 

아스날의 전체 히트맵에서 우측은

상당히 위쪽까지 전진되어있습니다.

중앙과 좌측에서는 파이널써드지역의 히트맵이

푸른색 정도로만 찍혀있습니다.

출처: whoscored

양팀 공격방향은 히트맵에서 보다시피

아스날은 우측, 맨유는 좌측입니다.

아스날의 우측은 53%, 맨유는 좌측이 43%입니다.

이날 아스날의 중앙은 16%로 제 기억에는

이번시즌 중앙 공격빈도 최저입니다.

출처: whoscored

아스날 공격진영의 히트맵입니다.

이렇게 우측으로 쏠려있을 수 없습니다.

로우가 교체된걸 감안해도 너무 차이납니다.

우측 공격도 사이드라인 보다는

하프스페이스를 공략하려는 모습이 보입니다.

출처: whoscored

그래서 좌측 윙어역할을 했던

누누 타바레스까지 넣었을 때에는

이정도로 분포가 나옵니다.

 

약간 신기하게 좌측 하프라인 위쪽에서

3군데로 뻗어나가는 방향이 보입니다.

사이드가 비면 사이드로, 하프스페이스가 비면

하프스페이스쪽으로 이동하고

둘 다 아니면 중앙으로 갑니다.

출처: whoscored

엘네니와 자카의 히트맵도

뭔가 상당히 그림이 그려집니다.

후방에서는 엘네니가 공을 잡은 횟수가 많고

전방으로 가서는 자카가 좌측, 엘네니가 우측입니다.

자카가 좀 더 중앙으로있고

엘네니는 좀 더 우측 하프스페이스쪽에 있습니다.

전방으로 가면 외데고르가 앞에 서고 

그 뒷라인에 엘네니가 서있는겁니다.

출처: whoscored

양측 풀백의 히트맵입니다.

소아레스가 훨씬 더 공을 많이 잡아서

더 진하고 넓은 히트맵을 기록했습니다.

누누는 앞서 본대로 좌측 하프라인 위쪽에서

공을 더 잡은 형태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whoscored

양팀은 슈팅 숫자만 같은게 아니라

슈팅지역의 비율도 같습니다.

이건 신기해서 가져왔습니다.

출처: whoscored

경기 플레이지역은 홈써드 28%,

미들써드 43%, 어웨이써드 29%입니다.


4. 패스/연계 분석(패스맵 등)

출처: oh_that_crab(Twitter)

양팀 선발라인업의 패스맵입니다.

확실하게 우측으로 가는 라인이 더 진합니다.

좌우전환은 엘네니와 자카가 담당했고

은케티아와 로우의 연계는 단절된것처럼 보입니다.

 

반면 맨유는 좌측으로 편중됐지만 좌측보다

우측 엘랑가가 더 높은 위치에 있습니다.

출처: oh_that_crab(Twitter)

아스날 경기 전체 패스 리더보드입니다.

최다패스는 자카, 최다 전진패스는 외데고르

deep패스 최다도 외데고르입니다.

xGC와 xGB 1위(Opta기준)는 사카입니다.

패스 xT 1위는 외데고르, 

xT패스 리시브 1위는 은케티아입니다.

출처: AFC Analysis

아스날의 패스 매트릭스입니다.

최다 패스는 엘네니→자카 16회이고

램스데일→화이트 15회

세드릭→화이트 14회 

세드릭→외데고르 14회

화이트→램스데일 13회입니다.

엘네니→세드릭도 13회로 나타납니다.

여기서만 봐도 우측이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출처: oh_that_crab(Twitter)

아스날의 전진패스입니다.

외데고르가 8회로 최다이고 자카가 5회

화이트, 소아레스, 엘네니가 3회

로우와 마갈량이스, 누누가 2회입니다.

 

이 경기 외데고르의 전진패스위치는

상당히 중앙에 쏠려있었던걸로 기억합니다.

출처: oh_that_crab(Twitter)

Deep패스는 총 32회 시도 16회 성공

4개가 키패스로 연결됐고 xA는 0.5

패스 효율은 116.4%입니다.

롱패스로 Deep패스가 나온 것은 4회 정도인데

1회 정도만 성공한 것으로 나타납니다.

성공한 1회는 아마도 선제골 과정에서 연결된

자카→사카 패스입니다.

출처: oh_that_crab(Twitter)

박스 투입패스는 외데고르가 6회

자카가 3회, 화이트와 로우가 1회입니다.

아마도 외데고르의 전진패스 8회 중 6회가

박스 안으로 넣는 패스라는거였습니다.

 

그렇다는 것은 외데고르의 패스 위치가

상당히 위쪽에서 이뤄진 것으로 볼수도 있습니다.

 


5. 선수 개별 스탯

출처: Sofascore

이 경기 은케티아는 1회의 슈팅과 빅찬스 미스,

0/2의 드리블, 3/7의 땅볼경합 0/3의 공중볼 경합

피파울 3회를 기록했습니다.

패스 성공률은 90%였고 키패스는 2개였습니다.

 

마르틴 외데고르는 풀타임에 62터치

94%의 패스 성공률 2개의 키패스

1/2의 크로스 롱볼은 0/1입니다.

1/7의 땅볼경합, 0/2 공중볼 경합입니다.

출처: Sofascore

로우는 64분을 뛰었고 27번의 볼터치만 가져갔습니다.

94%의 패스 성공률에 0/1크로스

1/3의 땅볼경합 기록이 있고 가로채기 1회가 있습니다.

별다른 공격적 성과는 많지 않았던 로우입니다.

 

부카요 사카는 74분 동안 42터치 82%의 패스 성공률

2개의 온타겟 슈팅, 1개의 PK획득

5/7 땅볼경합 0/1 공중볼 경합 피파울 3개입니다.

출처: Sofascore

자카는 풀타임에 1골 82터치 94%의 패스성공률

온타겟 슈팅 1개 키패스 1개와 크로스 2/3 롱볼 3/4입니다.

땅볼경합 1/3, 공중볼경합 2/3입니다.

가로채기는 2개가 있었습니다.

 

엘네니는 90분동안 81터치 89%의 패스 성공률

1개의 키패스 1/5의 롱볼

1개의 온타겟 슈팅, 2/3 땅볼경합, 1/1의 공중볼 경합

2개의 가로채기, 2개의 태클 등을 기록했습니다.

롱볼 빼면 대부분 괜찮아보입니다.

출처: Sofascore

누누 타바레스는 49터치 75% 패스성공률

1개의 키패스, 크로스와 롱볼은 1개시도 모두 실패

슈팅은 온타겟 1개 오프타겟 2개입니다.

땅볼경합 3/5 공중볼 1/5로 공중볼은 별로였습니다.

클리어 3회 슛블록 1회 태클 1회

그리고 PK내준게 1회 있습니다.

 

세드릭은 89분을 뛰고 토미야스와 교체됐고

78터치 81%의 패스 성공률

크로스 3회, 롱볼 4회 모두 실패했고

드리블 2/2입니다.

땅볼경합 2/6, 공중볼경합 0/1 클리어 3회

1개의 가로채기가 있습니다.

출처: Sofascore

마갈량이스는 59터치로 평소보다

매우 적은 터치 횟수를 기록했고

83%의 패스 성공률 3/8의 롱볼

4/5 땅볼경합, 1/2 공중볼 경합 피파울 3회

파울 1회를 기록했고 클리어 3회 슛블록 2회

태클 1회도 기록했습니다.

 

화이트는 풀타임에 71터치 87%의 패스성공률

4/7의 롱볼, 2/3의 땅볼경합 2회의 태클정도가 있습니다.

스탯이 전체적으로 나쁘진 않은데

그다지 눈에 확 들어오는 것도 없습니다.

(잘했다거나 못했다는건 아닙니다.)

출처: Sofascore

램스데일은 풀타임 동안 4회의 세이브

그 중 2개는 박스 안에서의 세이브고

1개는 슈팅으로 이어지는 에러가 있었습니다.

패스는 52%의 패스 성공률 롱볼은 1/20으로

키퍼라 하더라도 롱볼은 매우 좋지 못했습니다.

 


다음 경기는 리그 34R

아스날과 웨스트햄의 경기입니다.

경기는 웨스트햄의 홈구장에서 치러집니다.

한국시간 5월 2일 00:30입니다.

 

유로파리그 4강전에 힘을 쏟을 웨스트햄,

게다가 주전 센터백들의 부재도 있습니다.

아스날은 과연 3연승을 할 수 있을지, 

챔스경쟁에서 우위를 계속 지킬지 봐야겠습니다.

 

[21/22 EPL 33R 프리뷰] 아스날(H)v맨유 - 지난 경기처럼만

 

[21/22 EPL 33R 프리뷰] 아스날(H)v맨유 - 지난 경기처럼만

[21/22 EPL 33R 프리뷰] 아스날(H)v맨유 - 지난 경기처럼만 한국시간 - 4월 23일 20:30 현지시간 - 4X월 23일 12:30 경기장 - 에미레이츠 스타디움 주심 - 크레이그 포슨 중계 - 스포티비(SPOTV) 아스날이..

henryne.tistory.com

[21/22 EPL 33R 리뷰] 아스날(H)v맨유 - (3:1 승) 3연패를 만회한건가?

 

[21/22 EPL 33R 리뷰] 아스날(H)v맨유 - (3:1 승) 3연패를 만회한건가?

[21/22 EPL 33R 리뷰] 아스날(H)v맨유 - (3:1 승) 3연패를 만회한건가? 1. 선발명단 이 경기 선발명단입니다. 홈팀 아스날은 램스데일 키퍼에 한 경기 만에 세드릭이 다시 우측 풀백으로 돌아왔고

henryne.tistory.com

 

반응형

댓글